지난해 드론작전사령부(드론사)가 진짜 북한 무인기를 복제한 ‘짝퉁 무인기’를 평양에 보내 전단을 살포하려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지난해 10월 북한이 ‘한국군 드론과 같은 기종의 무인기 잔해를 평양에서 발견했다’며 추락한 무인기 사진을 공개하자, 무인기가 평양에 다시 추락하더라도 드론사가 하지 않았다고 잡아뗄 요량이었던 것이다.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이규정 선임비서관은 12·3 내란사태 1년을 맞아 공동 저술해 오는 27일 발간 예정인 ‘돌아오지 않은 무인기-그들은 전시계엄을 꿈꾸었다’에서 이런 군 관계자 제보 내용을 공개하고 “북한의 도발을 유도해 비상계엄 선포 요건으로 삼으려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책 내용과 부승찬 의원실의 설명을 종합하면, 지난해 10월 북한이 ‘한국 군부가 평양에 무인기 보냈고 또다시 발견될 경우 선전포고로 간주될 것’이라고 문제삼자, 드론작전사령부는 ‘복제 북한 무인기’를 평양에 보내는 방법을 검토했다. 북한에 보낸 무인기가 추락하면 물증이 남아 곤란하니, 다시 추락하더라도 북한 무인기라고 우기려고 ‘짝퉁 북한 무인기’를 보내려고 한 것이다.
군 당국은 2016년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쪽에 침투했다가 추락한 북한 무인기를 복제해 만든 상태여서, 드론사는 이 무인기들을 이관받아 작전을 준비했다. 드론사는 별도 팀을 꾸려 북한 무인기를 이용한 전단 작전을 준비했다. 하지만 준비단계에서 복제 무인기들이 기대와 달리 충분히 성능을 발휘하지 못해 드론사는 이 계획을 포기했다고 한다.
지난해 10월11일 북한은 외무성 중대성명을 통해 ‘한국이 3일과 9일, 10일 무인기를 평양에 침투시켜 대북 전단을 살포했다’고 발표했고, 김여정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은 한국 군부가 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또 지난해 10월19일 북한 국방성 대변인은 평양에 추락했다는 무인기 사진을 공개하고, 이 무인기 잔해들을 조사한 결과 한국 드론작전사령부의 원거리 정찰용 소형 드론이라며 국군의 날 행사 때 공개된 것과 동일 기종이라고 밝혔다. 당시 북한 국방성 대변인은 ‘대한민국발 무인기라는 것이 과학적으로 확정됐다’고 주장했지만,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일방적 주장에 대해 확인해 줄 가치도 없고 대꾸할 가치도 없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