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삼양

"삼양 1963은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초석입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호텔에서 열린 신제품 '삼양 1963' 출시 간담회에서 "삼양식품은 한국의 미식 문화를 세계로 전파하는 글로벌 식품기업이 됐지만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또 한 번의 혁신을 시작하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불닭 시리즈'로 쌓은 글로벌 입지를 발판 삼아 '국물 라면'을 통해 '제2의 전성기'로 도약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날 삼양식품은 '우지(牛脂)'를 사용한 '삼양 1963'을 공개했다. 1989년 11월3일 '우지 파동'으로 생산이 중단된 우지 유탕 라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선보인 신제품이다.

삼양식품이 신제품을 공개한 이날은 1989년 11월 3일, '우지 파동'이 발생한 바로 그날로부터 정확히 36년이 되는 날이다. 1960~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삼양식품은 국내 라면 시장의 절대 강자였다. 점유율 70%를 넘겼던 삼양라면은 당시 국민 식품이라 불렸다.

그러나 1989년 "삼양라면이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고, 법원은 1995년 무죄를 선고했다. 1997년 대법원 판결로 무죄가 확정됐지만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시간이었다. 삼양의 시장 점유율은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김 부회장은 "그날은 잘못된 정보와 왜곡된 여론 속에서 '공업용 우지'라는 단어가 회사를 무너뜨린 날이었다"며 "명예회장님께서 '절치부심, 이를 갈며 다시 일어서라'고 하셨던 말씀을 붙잡고 우리는 다시 불을 지폈다"고 했다.

'삼양 1963'은 삼양브랜드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이는 프리미엄 미식 라면이다. 삼양식품은 이번 제품에서 1960년대 라면 유탕(油湯) 처리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동물성 기름인 우지와 식물성 기름인 팜유를 황금비율로 혼합한 '골든블렌드 오일'을 사용해 면을 튀겨 고소한 향과 감칠맛을 강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