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사진기자단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3500억 달러(한화 약 490조 원) '현금투자' 요구로 한미 관세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국민 10명 중 5명 이상이 관세율을 낮추지 못하더라도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했던 조희대 대법원장 국회 청문회 출석 요구에 대해서는 긍·부정평가가 엇비슷하게 집계됐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총 통화 6439명, 응답률 15.6%)에게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관련 현안에 대해 의견을 물은 결과다(오차범위 95% 신뢰수준에 ±3.1%p).

먼저 관세협상과 관련 "미국의 요구에 맞춰 현금성 직접투자를 하더라도 관세율을 낮추는 게 적절하다"와 "관세율을 낮추지 못하더라도 우리 경제 사정상 현금성 직접투자는 적절치 않다" 중 어느 의견을 관세협상 기조로 더 공감하냐고 물은 결과다.

관세율을 못 낮추더라도 미국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의견은 55%, 반대로 미국 요구를 수용해야 한다는 의견은 29%로 조사됐다. "(미국 요구대로) 3500억 달러를 현금투자하면 1997년 외환위기가 재현될 수 있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우려에 더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있는 셈이다.

연령별로 보면 18·19세 포함 20대(현금성 직접투자 가능 40%-현금성 직접투자 불가 38%)와 30대(42%-43%)에서는 두 의견이 엇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40대부터 70대 이상까지는 관세율을 낮추지 못하더라도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는 건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도 대구/경북(40%-45%)을 제외한 대다수 지역에서 과반 이상이 현금성 직접투자는 부적절하다고 공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