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6500’ 비즈니스 제트기 비행 모습. / 사진=캐나다 봄바디어사
하늘의 지휘소’로 불리는 차기 공중조기경보통제기 4대를 국외 구매로 추가 도입하면 전·평시 적 공중 위협에 대한 상시 공중 감시 능력 및 한국군 주도의 원활한 항공통제 임무수행 역량은 대폭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공군은 현재 북한 미사일과 항공 전력 동향을 감시하기 위해 미국 보잉사의 공중조기경보통제기 E-737 ‘피스아이(Peace Eye)’ 4대를 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노후화에 따른 잦은 고장으로 군은 3조 원이 넘는 돈을 들여 신형 조기경보통제기 4대를 추가 도입하기로 했다. 이번 사업으로 통해 2032년까지 총 8대를 보유하게 되면 한반도 전역에 대해 24시간 가동하는 정보·감시·정찰(ISR)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3조 원대에 이르는 2차 조기경보통제기 도입 사업은 그동안 3개 업체가 네 번의 입찰에 나선 끝에 미국 보잉사 제품이 조기 탈락하고 미국의 L3해리스와 스웨덴의 사브가 최종 결선에 올라 결국 L3해리스가 낙점을 받았다.
지난 입찰까지 보잉은 E-737 개량형 ‘E-7A’, 스웨덴 사브는 ‘글로벌아이’, L3해리스는 ‘글로벌6500(G6500)’에 이스라엘 IAI의 최첨단 레이더를 탑재한 모델을 내세웠다.
방산업계에 따르면 두 업체의 제안서를 평가한 결과 기종의 성능은 같았지만 가격과 국내 기업과의 협력, 운용 유지 측면 등에서 L3해리스가 사브를 앞선 것으로 알려졌다.
군 소식통은 “양사가 제안한 기종 성능에 대한 평가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미 L3해리스는 운용적합성과 국내 방산기여도, 운영유지비용 분야에서 앞섰고 스웨덴 사브는 계약조건과 획득비용 분야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며 “결국 평가항목을 종합한 결과 L3해리스가 더 높은 점수를 받아 선정됐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