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KT 광화문빌딩 / 사진=블로그

KT 해킹 사태의 파장이 겉잡을 수 없이 커지면서 다음 달 시작될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에서도 여야의 집중 타깃이 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특히 야당은 KT 측이 대규모 해킹 사건을 무단 소액결제 피해 사고로 축소하기 위해 허위 주장을 반복한 것 아니냐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은 23일 KT가 대규모 침해사고를 단순 소액결제 피해 사건으로 축소하는 등 총 11차례에 걸쳐 거짓 해명과 말 바꾸기를 반복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최 의원실의 분석에 따르면 KT의 무단 소액결제 사건 조사 과정에서 추가 해킹과 정보 유출까지 확인되면서 소액결제 피해자도 당초 278명에서 362명으로 늘었습니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추가로 확인됐기 때문입니다. 피해액도 1억 7000만 원에서 2억 4000만 원으로 늘어났고. 피해 지역도 서울 서남권에서 서울 서초구, 동작구,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까지 확대됐습니다. 특히 가입자식별번호(IMSI),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 휴대전화 번호 등 고객 개인정보 유출 정황 역시 발견됐습니다.

최 의원이 지적하는 문제는 KT가 사건 초기 침해 정황 자체를 부인했다는 것입니다. KT는 당초 “불법 소형 기지국 해킹은 인정하지만 서버 침해는 없다”고 해명했으나 결국 서버 침해까지 확인되고 있습니다. KT는 이달 15일 서버 침해 사실을 이미 인지했지만, 18일 언론 브리핑에선 서버 침해가 없다는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같은 날 저녁 서버 침해 사고 신고를 접수했습니다. 결국 늑장 신고와 일관성 없는 대응으로 국민과 당국에 혼란을 초래했다는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최 의원실은 “KT의 발표와 해명이 축소, 은폐되었거나 사실과 다른 것으로 드러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