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비율이 두 달 만에 60%대를 회복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3일 나왔다.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로 혼란스러운 정국이었지만 그럼에도 지지율은 상승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0∼12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이날 공개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긍정 평가한 응답자는 직전 조사인 2주 전보다 5%포인트(p) 상승한 61%를 기록했다.

62%를 기록한 9월 1주차 조사 이후 50%대에 머물렀던 긍정 평가 비율이 다시 60%를 넘어선 것이다. 부정 평가 응답은 29%로 직전 조사보다 6%포인트 하락했다.

진보층과 중도층의 긍정 평가가 각각 90%와 66%였고, 보수층에서는 부정 평가가 61%였다.

전 연령대와 전 지역에서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보다 높았다.

지역별 긍정·부정 평가 비율은 서울(53%·37%), 인천·경기(65%·26%), 대전·세종·충청(58%·29%), 광주·전라(85%·10%), 대구·경북(50%·36%), 부산·울산·경남(55%·36%), 강원·제주(65%·23%)였다.

이 대통령 국정 운영 신뢰도 조사에서는 ‘신뢰한다’가 61%로 한 달 전보다 4%포인트 올랐다, ‘신뢰하지 않는다’는 33%를 기록했다.

진보층과 중도층의 ‘신뢰한다’ 응답은 각각 91%와 66%였고, 보수층에서는 ‘신뢰하지 않는다’가 67%였다.

정당 지지도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직전 조사보다 3%포인트 상승한 42%, 국민의힘은 4%포인트 하락한 21%를 각각 기록했다. 두 당의 격차는 21%포인트다.

이 뒤를 조국혁신당 4%, 개혁신당 3%, 진보당 1%가 이었다. ‘없음’ 또는 ‘모름’, 무응답은 27%였다.

현안에 대해서는 국민의 절반가량이 우려를 드러냈다.

정부의 재정 운용 기조와 관련해서는 ‘국가 재정이 안 좋으므로 긴축 재정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50%였고, ‘민간 경제가 안 좋으므로 확장 재정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38%였다.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초심야배송을 제한하자는 의견에 대해서는 ‘소비자 편익을 위해 지금처럼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49%, ‘노동자 건강과 안전을 위해 심야 배송을 일정 부분 제한해야 한다’는 응답이 45%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