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블로그

강동길 해군참모총장이 핵추진잠수함(핵잠) 건조에 10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강 총장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종합국감에 출석해 핵잠으로 유력한 '장보고-Ⅲ 배치-Ⅲ' 건조 시기를 묻는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 질의에 "건조 착수 시기는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강 총장은 이어 "결정이 난다면 10여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지금 결정하더라도 2030년대 중반 이후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우리(한미) 군사 동맹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는 그들이 지금 보유한 구식 디젤 추진 잠수함이 아닌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강 총장은 핵잠 규모에 대해 "5000t 이상이 될 것"이라고 답했고, 핵잠 연료에 대해서는 "평화적으로 사용 가능한 수준으로 보면 (우라늄) 농축 정도가 20% 이하 정도로 보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규백 장관은 '핵잠 건조로 인해 주변국 반발은 없겠느냐'는 국민의힘 강대식 의원 질의에 "이것은 군사용이 아니기 때문에 주변국 반발은 없으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몇 척을 생각하고 있냐는 질문에는 "해군하고 협의를 해봐야 한다"면서도 "최소한 4척 이상은 있어야 되지 않을까 싶다"고 답했다.

안 장관은 핵잠 건조를 위해 국방부에서 준비할 것을 묻는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의 질의에는 "핵추진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는 여러가지 여건을 이미 갖춰 놨다"며 "마지막에 연료가 필요했던 것인데 그 부분에 대해 미국의 협조를 받아 우리가 완결점을 이룬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했다.

안 장관은 이번 건조 승인에 대해 "디젤잠수함으로는 잠항 능력이나 속도가 북한이 준비하고 있는 핵잠수함을 능가할 수 없기 때문에 구조적 측면에서 대단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전략자산으로서 우리가 (자주국방의) 충분한 여건을 갖추는 결정적 계기가 된다"고 평가했다.

강 총장 또한 "북한 SLBM(잠수함탄도미사일) 탑재 잠수함에 대해 바로 대응할 전력"이라며 "다양한 해협 위협에 대해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핵잠 건조 장소로 지목한 필리조선소(필라델피아 조선소) 건조 가능성을 묻는 질문도 있었다.

이와 관련 강 총장은 "잠수함을 건조하려면 수천톤을 견디는 강화 콘크리트 기반과 은닉형 대형 건조물이 필요한데 필리조선소는 그런 시설이 없다"며 "새 건조 시설을 만들려면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핵추진 잠수함을 총리실 직속 국책사업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 "유관 부서와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해서 손색이 없도록 만전의 준비를 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