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블로그

지난 29일 경주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핵 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한 가운데, 이를 개발·건조하기 위한 범정부 사업단이 꾸려질 전망이다.

3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핵추진 잠수함 사업을 위해 국방부와 외교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유관 부처가 참여하는 범정부 사업단 구성이 검토되고 있다.

군 당국은 배수량 5천t급 이상의 핵잠수함을 2030년대 중반 이후 4척 이상 건조하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핵잠수함 건조를 위해서는 대형 잠수함 설계는 물론 동력기관인 소형 원자로 개발, 연료인 농축 우라늄 확보를 위한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 또는 새 협정 체결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아 부처 간 협조가 필수적이다.

5천t급 핵잠수함 1척 건조 비용만 약 3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4~6척을 건조할 경우 12조~18조원이 소요된다. 개발 비용을 포함하면 총사업비는 20조원을 넘어서게 되는데, 이는 한국형 전투기 KF-21 총사업비 16조5천억원을 뛰어넘는 규모다.

막대한 비용에도 핵추진 잠수함은 기존 디젤 잠수함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전수행 능력이 우수해 군 안팎에서 도입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 수면으로 부상하지 않고 잠항할 수 있는 기간은 디젤 잠수함의 경우 최장 수 주에 불과하나 핵잠수함은 수개월에 달한다.

또한 잠항 능력과 속도에서 월등한 능력을 갖춰 디젤 잠수함에 비해 훨씬 넓은 해역에서 작전 수행이 가능하다. 핵잠수함은 4척 이상 보유하면 한반도 주변 해역은 물론 원양에서도 작전이 가능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