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0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의 한국수자원공사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우크라이나 재건사업과 삼부토건 주가 조작 의혹을 두고 공방을 벌였다.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은 지난 2022년~2023년 삼부토건이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주'로 부상하면서 주가가 상승하게 된 배경에 주가 조작 세력이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수자원공사의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업무협약(MOU)이 삼부토건 주가 부양에 활용됐다고 주장하며 공세를 펼쳤다. 반면 국민의힘은 "저성장 고착화에 탈피하기 위해 해외 사업에 뛰어든 것"이라며 여당의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이용우 민주당 의원은 "윤석열 정권이 지난 2023년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MOU를 맺으면서 1200조원 규모 사업이라고 선전했고, 이를 두고 성공적인 세일즈 외교라고 포장하는 기사가 쏟아졌다"며 "그 과정에서 삼부토건이 공모한 것인지 편승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MOU 체결을 홍보 하면서 주가 조작을 했다는 것이 특검 수사로 드러났고 기소됐다"고 했다.
이어 "공공기관도 윤석열의 우크라 재건사업 띄우기에 동원된 것"이라며 "윤석대 수자원공사 사장이 취임한 2023년 6월 이후 약 1년간 11건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MOU를 체결했는데 같은 기간 국가철도공단 1건, 국토부 3건보다도 많다. 전쟁 중에 이런 재건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적이 있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윤석대 수자원공사 사장은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 일부 참여했는데 MOU 체결까진 하지 않았다"고 했다.
이에 이 의원은 "재건 사업에 대한 경험도 없고 수자원공사가 다른 기관보다 월등히 적극적으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뛰어든 것은 사장이 윤석열 대선 캠프 출신이라서 편승한 것이 아니냐"며 "윤석열 정부 우크라이나 재건 성과를 부풀리는 과정에서 삼부토건 주가 조작 사건이 있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태선 민주당 의원도 "수자원공사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MOU를 체결한 것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민간기업인 삼부토건의 주가 조작에 공공기관이 이용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는 것"이라고 했다.
같은 당 강득구 의원도 의원실에 제출된 수자원공사의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출장보고서'가 당초 공개된 문건과 다른 점을 지적했다. 콘퍼런스 참가 기업 부분에 삼부토건 계열사 '웰바이오텍'이 빠지고, 삼부토건의 순서가 맨 앞에서 뒤로 수정됐다는 것이다.
강 의원은 "수자원공사가 수정 제출한 문제의 보고서를 보면 출장보고서상 기업 명단을 바꿔치기 했다"며 "변명의 여지가 별로 없다고 생각한다. 바꾸면 조작의 의심이 있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윤 사장에게 소명의 기회를 주는 방식으로 방어에 나섰다. 또 해외 사업 수주는 국가 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