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샌델 미국 하버드대 교수와 이재명 대통령 / 사진=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이 18일 세계적인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 미국 하버드대 교수를 만났다. 샌델 교수는 '정의란 무엇인가', '공정하다는 착각' 등의 저자로 국내에도 잘 알려져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방한 중인 샌델 교수를 접견하고 "아주 오래전부터 대한민국 국민이 아주 좋아하는 학자"라며 "특히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해 우리 국민의 관심이 높다. 대한민국 국민의 교수님"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상식적이고 정의로운 사회라는 것이 말로는 쉽지만, 현실에서는 매우 어렵다"며 "전 세계가 정치적 혼란을 많이 겪고 있고 극우의 발호로 사회적 안전성도 저해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어려운 과정을 겪기는 했지만, 빛의 혁명을 통해서 정의로운 사회를 향한 민주적인 사회, 연대의 공동체를 현실 사회에서 만들어가는 모범이 되고 있다는 자부심도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우리가 교과서상에서 '민주주의'라고 하면 아테네를 떠올리는데, 많은 시간이 지난 다음에는 대한민국 서울을 떠올리게 되지 않을까"라고도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에도 평화 체제가 구축돼 국민 모두 '평화 배당'을 얻을 수 있으면 참 좋겠다"며 "평화가 비용과 손실이 아닌 현실적 이익이라는 점도 많이 알려지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익 배당은 세속적인 개념이라 교수님 같은 분이 민주주의와 정의, 평화가 현실적이라고 언급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고 강유정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강 대변인은 샌델 교수가 저서 '당신이 모르는 민주주의'의 뒤 챕터를 새로 썼는데, "최근 한국의 민주주의와 관련한 영감이 있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샌델 교수는 또 "노동자와 엘리트 간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려면 노동의 존엄성을 인정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많은 지식을 가졌다고 해서 더 존중받을 이유는 없다. 사람은 그 자체로 존귀하다"며 "지위가 높고 돈이 많고 힘이 세더라도 가을 하늘의 아름다움을 모르고 인간을 존중할 줄 모른다면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