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미정 전 대변인 / 사진=블로그

조국혁신당 성폭력 사건으로 지도부가 총사퇴한 가운데, 11월 전당대회를 통해 당대표직 복귀가 예정됐던 조국 전 대표(현 혁신정책연구원장)의 조기 복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성폭력 피해자 측은 조 전 대표의 조기 복귀에 반대 입장을 천명했다.

성폭력 사태 여파로 지도부가 총사퇴한 혁신당은 8일, 전날에 이어 의원총회를 열고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에 대해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 혁신당은 결국 9일 추가 의원총회를 열고 비대위 구성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백선희 혁신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의원총회 후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 구성 논의를 숙성 중”이라며 “조속히 출범해야 해 이번 주엔 당무위원회를 열어 비대위를 출범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비대위 구성 논의의 핵심 쟁점은 조 전 대표의 비대위원장 임명 여부다. 지난달 광복적 특별사면을 통해 석방과 함께 피선거권을 회복한 조 전 대표는 당초 11월 전당대회를 통한 복귀가 유력했다. 당 지도부 역시 조 전 대표 조기 복귀를 위해 임기단축을 결정한 바 있다. 조 전 대표가 혁신정책연구원장을 맡은 것 역시 당대표직 복귀를 위한 수순이었다. 하지만 이 같은 복귀 시나리오는 당내 성폭력 사태로 지도부가 총사퇴하며 뒤틀어진 상황이다.

당내에선 조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아야 되는지를 두고 뜨거운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당이 창당 이래 최악의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 실직적 당수(黨首)인 조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으로 조기 복귀해 혼란을 수습해야 하다는 의견과 함께, 조 전 대표 역시 성폭력 사태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만큼 제3자가 성폭력 사태 수습에 나서야 한다는 반대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혁신당 내에선 조 전 대표의 조기 복귀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혁신당 한 관계자는 “어찌 됐든 혁신당의 중심은 조국 전 대표다. 지금의 혼란과 내홍 역시 조 전 대표 외엔 수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어설픈 비대위 체제면 혼란이 더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반면 성폭력 피해자 측은 조 전 대표의 조기 복귀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피해자 법률대리인이자 혁신당 여성위원회 고문인 강미숙 변호사는 이날 CBS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조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으면 조 전 대표 의견이 아무래도 가장 우선시될 것”이라며 “다양한 의견이나 끝장 토론을 위해선 수평적인 제3자가 더 낫다”고 반박했다.

피해자 측은 조 전 대표가 이번 사태에 대해 사실상 방조했다는 사실을 공개하기도 했다. 강 변호사는 특별사면으로 석방이 예상되던 조 전 대표에게 10쪽이 넘는 손편지를 직접 보냈지만 답장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출소 전 답장을 기대하지 않았다는 강 변호사는 석방 후에도 조 전 대표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것에 대해선 서운함을 느꼈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