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해삼 한 접시당 무려 7만원에 판매해 바가지 논란에 휩싸인 부산의 한 유명 횟집이 상품 가격을 제대로 표시하지 않은 혐의로 2일 지자체의 시정 명령을 받았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우리나라 지방 관광 수요 개발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바가지 문제를 지적했다.
부산 중구는 이후 논란의 횟집에 대한 현장 점검을 진행했다.
그 결과 해삼은 물론 멍게, 낙지의 가격표를 제대로 게시하지 않은 것을 적발해 시정 명령했다고 밝혔다.
그뿐만 아니라 해당 횟집은 영업주와 종업원의 보건증 유효기간도 지나 식품위생법 위반까지 적발돼 총 6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됐다.
이 횟집은 부산 자갈치 시장 인근에 있는 유명 식당으로,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시가’로 표시된 해삼이 2~3마리에 7만원에 판매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된 곳이다.
최근 유명 관광지를 중심으로 바가지요금 논란이 불거지면서 정부에서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제40회 국무회의에서 “내국인들의 지방 관광을 활성화해야 하는데 제일 큰 장애 요인은 자영업자들로 인해 사고가 가끔 나는 것”이라며 “(관광객에게 상인들이) 바가지 씌우는 것을 어떻게 단속할 방법이 없나”라고 물었다.
이어 “우리도 지방 관광 수요를 많이 개발할 필요가 있다”며 “부산 바가지 얘기가 나오더라. 최근 한류 덕에 관광객이 늘어나는데, 지방 관광을 활성화해야 하는데 장애 요인이 자영업자 사고가 나서 한참 타격이 엄청난 모양”이라고 바가지요금 문제를 거듭 지적했다.
그러면서 “사소한 이익을 얻으려다가 치명적인 타격을 입는데, 이제 과거와 달라서 유튜브로 공개하면 확산 속도가 너무 빨라서 치명적”이라며 “그것(바가지요금)을 자율적 상황이라고 방치할 일인가. 공공에 대한 피해가 너무 크다.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다”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바가지요금이) 생각보다 엄청난 피해를 주변에 입힌다. 연구해서 대책을 만들어야 할 것 같다”며 최 장관에게 대응 방안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