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9일부터 전방 일부 지역에서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기 시작했다. 우리 군이 지난 5일까지 대북 확성기를 모두 철거한 지 나흘 만이다. 군사적 긴장 완화의 신호라는 해석도 있지만, 대남 확성기 철거가 전방 전 지역에서는 이뤄지지 않고 있어 아직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합참) 공보실장은 11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지난 9일 오전 전방 일부 지역에서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는 동향을 확인했다”며 “전 지역 철거 여부는 추가 확인이 필요하며 군은 북한군의 관련 활동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은 소형 확성기를 꾸준히 뗐다 붙였는데, 이런 활동이 철거로 이어질지는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북한이 대남 확성기를 설치한 지역은 전방 40여곳으로, 10일 일부 지역의 확성기는 철거가 완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우리 군은 지난 4~5일 전방 20여곳의 대북 확성기를 모두 철거한 바 있다.
북한의 이번 대남 확성기 철거는 이재명 정부의 긴장 완화 조치에 대한 호응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대북 확성기 중단을 조치하자, 북한은 8시간 만에 전 지역 대남 소음방송을 중단했다. 또 국가정보원이 대북 라디오·TV 방송을 보내지 않자 대남 방해 전파 송출을 중단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북한이 대남 확성기가 일부 철거된 것에 불과해 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지난달 28일 대남 담화에서 “한국과 마주 앉을 일 없다”고 언급한 뒤 별다른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다. 또 북한은 현재 우리 정부의 남북 소통 재개 요구는 받아들이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