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블로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청구한 '25% 상호관세' 부과 시한(8월1일)이 이틀 앞으로 다가오면서 이재명 정부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미국 측에선 한국 측에 최선의 최종 협상안을 제시하라고 압박하는 가운데, 대통령실은 협상 카드와 대응 과정을 철저히 보안에 부치고 물밑 작업에 집중하며 총력전에 나섰다. 이번 협상 결과에 정부의 첫 외치(外治) 점수가 달린 만큼 정부도 기민하게 대응하는 모습이다.

29일(현지시각) 각종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최근 일본·유럽연합(EU) 등과 무역협정을 연이어 체결한 것을 언급하며 한국도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할 만한 최고의 조건을 가져오도록 압박하는 분위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러트닉 장관이 최근 스코틀랜드에서 열린 회동에서 한국의 무역 고문들에게 "최고의 조건을 가져와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려면 그에 합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고 압박했다고 보도했다.

한국 정부 역시 협상 시한이 임박함에 따라 발걸음이 분주해졌다. 현지에선 '통상 투톱'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수행 중인 러트닉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비롯한 미국 무역대표단을 만나기 위해 스코틀랜드와 미국을 넘나들며 동분서주하고 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방미에 합세해 통상 투톱과 이날 러트닉 장관을 만나 2시간 동안 통상협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구 부총리는 오는 31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통상 협상 실무를 맡은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과 회담을 앞두고 있다. 조현 외무부 장관도 방미해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면담할 계획이다. 여기에 국내 재계 인사까지 현지에 총출동해 후방 지원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 현지 협상팀과 대통령실 참모진으로부터 상황을 수시로 보고 받으며 한미 통상·안보 협상을 지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정부 당국자 간에 이뤄지는 협상 과정에서 이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개입할 경우 오히려 실무진 운신의 폭을 좁힐 수 있는 만큼, 이 대통령 본인이 공개적으로 회의를 주재하진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