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에서 25일(현지시간)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을 두고 주요 외신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이날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직전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 숙청 혹은 혁명처럼 보인다'는 글을 남겼다"며 "이는 한국 정치 안정성에 대한 불신을 드러낸 것"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회담에 들어선 뒤 그는 '오해였다' '한국에 대해 따뜻한 감정을 갖고 있다'고 갑자기 입장을 바꿨다"고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양국 정상이 북한·안보·조선업 분야 협력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짚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이 이 대통령에게 "우리는 당신과 100% 함께한다"고 말한 대목을 소개하며 "이는 회담 전과 달리 태도를 누그러뜨린 사례"라고도 해석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직전 교회 압수수색 논란에 대해 길게 해명하면서 이 대통령을 오래 기다리게 했지만 회담에서는 이를 오해라고 했다"고 설명하며 "이 같은 분위기가 형성된 것은 이 대통령의 외교적 노력의 성과"라고 평가했다.
BBC 역시 "이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 회담을 마쳤다"고 전했다. 그리고 나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공개 논쟁을 벌였던 사례와 달리, 이번에는 경제·안보 협력에 찬사가 오갔다는 설명도 덧붙어졌다.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협박과 경고가 아첨(flattery)과 환대로 바뀌었다"고 평했다. 이어 이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 장식을 칭찬하고 한반도 평화 협력 의지를 표명한 것을 언급하며 "대결보다는 칭찬이 트럼프와의 회담에서 효과적인 전략임을 보여준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회담 직후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인물'로 칭찬하고, 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만남을 주선하겠다고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진 포고문 서명식에서도 이 대통령을 "매우 좋은 사람, 훌륭한 한국 대표"라고 치켜세웠다.
일본 언론은 대부분 한일 관계 부분에 초점을 맞췄다. 아사히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한일 갈등 중재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밝힌 점을 보도했고, NHK는 "위안부 문제를 장애물로 인식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에 대해 이 대통령이 장애물이 되는 요소는 대부분 제거됐다고 설명했다"고 강조했다.
중국 매체들도 회담 내용을 비중 있게 다뤘다. CCTV는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피살 시도를 겪은 경험을 공유하면서 특별한 공감대를 형성했고, 이는 회담 분위기를 누그러뜨리는 데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관찰자망은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한에 '트럼프 타워' 같은 건물을 지어 달라고 농담을 건넸다"고 보도했다. 또 "이를 트럼프 대통령이 웃으며 받아 넘겼고 이후 친밀한 분위기가 지속됐다"고 부연했다.
한편 두 정상은 이날 오후 12시 42분부터 약 54분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발언과 질의응답 형식으로 회담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