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대통령실

한·미 관세 협상 타결과 동시에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한·미 정상회담도 급물살을 타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3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관세 협상 내용을 발표하면서 “(한국의 투자) 액수는 2주 내로 이 대통령이 양자 회담을 위해 백악관으로 올 때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도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에게 ‘다음 주라도 날짜를 잡으라’고 했다고 한다”며 “곧 한·미 외교라인을 통해 구체적 날짜와 방식 등을 협의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2주 내’로 시점까지 못 박아 공식 발표하고, 대통령실도 구체적 날짜와 방식 협의에 돌입한다고 밝히면서 늦어도 8월 중순에는 한·미 정상회담이 열릴 것으로 관측된다. 15일 광복절 행사가 있고, 이 대통령이 같은 날 대규모 ‘국민 임명식’을 진행한다고 밝힌 만큼 광복절 이전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이 6월16일 캐나다에서 개최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을 계기로 한·미 정상회담을 계획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의 이스라엘·이란 무력 충돌 상황을 이유로 일정을 중단하고 미국으로 돌아가면서 만남이 불발됐다. 같은 달 24∼25일 네덜란드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 정상회의도 한·미 정상회담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이 대통령이 중동 정세 등을 고려해 불참 결정하면서 또다시 한·미 정상회담이 연기된 바 있다.

한·미 정상회담이 성사될 경우 이날 타결된 통상 협상의 세부 내용을 확정하는 등 후속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방위비 분담금 증액 문제와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화, 미국산 무기 구매 문제를 포함해 이번 협상안에 담기지 않은 국방 분야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