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입시 비리와 청와대 감찰 무마 등 혐의로 실형을 확정받고 지난해 12월 16일 수감된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가 문재인 정부에서 윤 전 대통령을 검찰총장으로 기용했던 때를 회상하며 "이런 사람의 본색을 꿰뚫어 보지 못한 점에 대해 깊이 자책한다"고 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민정수석비서관을 지냈던 조 전 대표는 29일 발간된 신간 '조국의 공부 - 감옥에서 쓴 편지'에서 자신이 정치를 하게 된 이유에 대해 "윤석열이 지휘하는 표적 수사에 저와 제 가족이 희생당하더라도 윤석열은 반드시 공적 응징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조 전 대표는 "검찰독재 정권을 조기종식하고 민생·복지를 중심에 놓는 사회권 선진국을 만드는 것, 이 시대적 과제를 달성해야 저의 개인적 고통도 해소·승화할 것으로 판단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는 윤 전 대통령의 과거 발언에 대해 "타인에게 충성하지 않고 자기 자신에게만 충성한다는 것"이라며 "윤석열은 자기 자신, 자기 가족, 자기 조직에만 충성하는 사람"이라고 비판했다.
조 전 대표는 지난 6·3 대선에서 범진보·범보수 후보 간 지지율 차이가 1%도 채 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며 경각심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면서도 "여야 대화와 타협이 필요하지만 단호함이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 탄핵 선고 소식을 독거실에서 TV생방송으로 접했다면서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는 문장이 나오는 순간 "절로 손뼉을 쳤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정치라는 마지막 소명을 가슴 깊이 간직하고 있기에 여러 지위 상실도 유죄 판결도 속 쓰리지 않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