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둘째 날인 25일 "무한입증을 요구받는 부분에 대해 무한입증을 하겠으나 적어도 소명된 부분에 대해서는 인정이 필요하고, 명백하게 의도를 갖는 '조작 질의'에 대한 낭패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개인사 등 공방이 청문회에서 이뤄지는 것에 대한 소회'를 묻는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이같이 말했다.
김 후보자는 "신상 관련 야당 의원들이 수상한 자금이라고 표현하는 대부분은 저에 대한 표적 사정에서 시작된다"며 "이를 정리하기 위해 당시 돈을 제공한 기업과 검사를 증인으로 불러줬으면 했는데 안타깝게도 채택되지 않았고, 윤석열 씨가 포함된 '우검회'라는 검찰 내 조직이 관련됐다는 것이 청문회 시작 후 나와서 다행스럽게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20년간의 각종 수입은 표적사정에서 시작된 추징, 중가산증여세, 사적채무를 갚는 데 쓰였다"며 "축의금, 조의금, 2번의 출판기념회 등이 있었고 사적채무는 지인들에게 투명하게 빌려서 다 갚았고, 세비도 매달 500만~700만 원 정도로 해서 추징금을 완납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출판기념회는 권당 5만 원 정도의 축하금을 받았던 것으로 생각이 되는데, 국민 눈에서는 큰돈이지만 평균으로는 과하지 않을 수 있다"며 "아내가 장모로부터 일정한 지원을 받은 것도 투명하게 드러나는 지원금"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결론적으로 저는 내야 할 것은 다 내고 털릴 만큼 털렸다"며 "한 해에 6억 원을 모아서 장롱에 쌓았다고 볼 수 없는 게, 어떤 분들은 제2의 논두렁 시계라고 표현할 수 있는 프레임을 만들어 지적하고 국민의힘에 의해 현수막에 붙이는 상황이어서 청문회 의미 자체가 무색해지는 것 아닌가 걱정이 들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