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언급한 '라면 가격' 논란이 사회적 논쟁으로 번지고 있다. 라면 가격 발언을 두고 업계와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선 실제와는 괴리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가격을 올리긴 했지만 과도한 인상폭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다만 이 대통령이 라면만을 언급한 게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대표적 서민 제품인 라면을 거론하면서 전반인 식품 물가 상승에 대한 '경고'를 날린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실제 라면 값은?
‘개당 2000원’ 발언이 쟁점화된 게 컸다. 이 대통령은 지난 9일 2차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최근에 물가가 엄청나게 많이 올랐다고 한다. 라면 한 개에 2000원 한다는데 진짜냐”라는 발언을 농심 주가가 4.64% 하락하는 등 시장까지 출렁거렸다.
식품업계에선 당혹감을 드러내고 있다. 실제로 국내에서 유통되는 라면 중 2000원이 넘는 제품은 일부에 불과한데, 이처럼 직접적으로 언급되면서 라면 제조업체들이 자칫 서민 물가 인상의 '주범'으로 몰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로 2000원 넘는 가격에 팔리는 라면은 편의점 기준으로 농심 푸팟퐁구리큰사발, 오뚜기 열치즈라면 대컵, 삼양식품 탱글, 하림 더미식 장인라면 등이 있지만 2000원이 넘는 라면 비율은 전체의 10% 정도로 추정된다.
대다수 봉지라면 가격은 한 봉에 1000원 안팎이다. 농심은 지난 3월 신라면 1개당 가격을 5% 올렸는데, 출고가 기준 950원에서 1000원으로 50원 인상했다. 소비자 판매가도 출고가를 크게 상회하는 편은 아니다. 대형마트 기준으로는 봉지라면의 개당 소비자 가격은 1000원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보통 600~900원대다. 편의점 낱개 판매가도 1200~1500원 선이다.
한 라면업체 관계자는 “라면은 대표적 서민 음식이라는 인식이 커 원자재 인상분을 다 반영해 가격을 큰 폭으로 올려 가져가기 어렵다”며 “2000원이 넘는 라면은 프리미엄 제품 등 일부이며 대부분 라면은 2000원선을 크게 밑돈다"고 설명했다. 일부 소비자들이나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도 ”슈퍼나 마트 등에서 개당 2000원대 라면을 거의 본 적이 없다“는 반응을 보이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당분간 가격 인상 쉽지 않을 것"
다만 이 대통령의 발언은 라면 가격만 콕 집어 말한 것이라기보단 전반적인 가공식품 물가 상승세을 지적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최근 식품 물가가 1~2년째 상승하면서 물가 대책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자 전략적으로 꺼낸 발언으로 풀이된다.
최근 소비자물가는 1%대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먹거리 물가 불안은 여전하다. 특히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는 1년 전보다 각각 4.1% 급등했다. 실제 지난달 가공식품 74개 품목 가운데 계엄 사태 직전인 지난해 11월과 비교해 물가지수가 상승한 품목은 53개로, 전체의 72%를 차지했다. 라면의 경우 1년 전보다 6.2%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1.9%)의 세 배 이상이었으며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4.1%)보다도 높았다.